무선인터넷 서비스 규격
●서비스 규격 종류
ㅇWAP
ㅇME
ㅇVM
●WAP이란
ㅇ각 회사간에 모두 통용되는 무선인터넷 공통 규격 필요
ㅇ1997년 6월에 Ericsson,Motorola,Nokia,Unwired Planet사
등이 모여 WAP(Wireless Application Protocol) 포럼 결성
ㅇ현 전세계적으로 600여 업체 참여
(세계이동전화가입자의 90% 이상임)
ㅇ우리나라에서는 SK텔레콤, LG텔레콤, 신세기통신이 가입
ㅇ특정 무선네트워크표준이나 방식에 대하여 독립적이고
모든 무선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하며
확장가능한 표준프로토콜 규격,컨텐츠와 응용기술을
제정하는 것
●WAP 시스템개요
ㅇWAP서버 <--①--> WAP G/W <--②--> WAP클라이언트
-.①구간은 인터넷 전용선 방식 사용(HTTP)
-.②구간은 무선방식 사용(WSP/WTP)
ㅇWAP클라이언트가 기존의 유선인터텟처럼 TCP/IP를
사용하기에는 엄청난 부담이 따르게 됨
ㅇWAP G/W 역할
-.WAP프로토콜과 인터넷TCP/IP프로토콜을 중간에서 변화해 줌
-.WAP Proxy라고도 부름
-.보통은 망 사업자들이 가지고 서비스해 줌
-.WAP서버에서의 데이터는 기존 character기반의 유선테이타
-.WAP클라이언트에서의 데이터는 binary기반의 무선테이타
-.자신이 전송하는 데이타의 비밀유지,무결성,인증 등도 처리 함
●ME란?
ㅇMobile Exploror의 약자
ㅇ프로토콜이 아님
ㅇ브라우저의 이름
ㅇ무선인터넷환경에서 향후 Windows CE기반의
모바일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무선인터넷폰이나 PDA 등
모바일 소형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
현재의 인터넷표준을 지원하는 브라우저
ㅇ일반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html3.2의 부분집합을 지원
ㅇ기존의 html컨텐트들을 무선인터넷에서도 사용하는 것
ㅇos에 독립적인 브라우저
ㅇKTF(016과 018)에서 ME브라우저를 지원하는
mHTML을 사용하여 무선인터넷서비스 중
●VM이란?
ㅇVirtual Machine의 약자
ㅇWAP이나 ME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멀티미디어적인 요소 지원
ㅇ보통 2세대 무선인터넷서비스라고 함
ㅇVM구현언어로 자바,C언어 주로 사용
-.자바 경우 J2EE, J2SE, J2ME 중 J2ME을 이용한 플렛폼 사용
ㅇ사용자는 VM이 내장된 전화기 필수
ㅇ이동사별로 서로 다른 VM사용 중 - 별첨참조
-.자바로 인해 서로 다른 플렛폼사용
-.자바는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호환이 가능하고
모바일디바이스에 대해서 특별한 세부규정이 없다
-.따라서 이동통신업체들 마다 자신들만의 플렛폼을 만들어서 사용
ㅇKVM
-.Kilobyte Virtual Machine
-.기존 자바가상머신의 서브셋
-.CPU(16bit/16MHz)
-.128KB 메모리 요구
-.LG텔레콤 등 세계 20여개 회사에서 사용 중
ㅇSKVM
-.SK Telecom에서 자체개발한 J2ME
-.VM,단말확장,네트워크,IO를 포함하는 클래스라이브러리로 구성
-.무선단말기에서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도 및 실행
ㅇGVM
-.General Virtual Machine
-.프로그램스크립트 다운로드 시스템
-.모바일C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개발
-.포팅이 용이하고 실시간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
-.SK Telecom에서 서비스
ㅇMAP
-.C기반
-.초기 KTF에서 사용
-.Mobile Application S/W Plug-in
ㅇBREW
-.미국퀼컴에서 만든 플랫폼
-.CDMA칩에 플랫폼이 내장되어 있음
-.처리속도가 빠르다
-.브르스펙에 맞춰 개발된 컨텐츠라면 이동통신업체에 대해서는
개발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동일한 컨텐츠로 서비스할 수 있다
ㅇWAP
ㅇME
ㅇVM
●WAP이란
ㅇ각 회사간에 모두 통용되는 무선인터넷 공통 규격 필요
ㅇ1997년 6월에 Ericsson,Motorola,Nokia,Unwired Planet사
등이 모여 WAP(Wireless Application Protocol) 포럼 결성
ㅇ현 전세계적으로 600여 업체 참여
(세계이동전화가입자의 90% 이상임)
ㅇ우리나라에서는 SK텔레콤, LG텔레콤, 신세기통신이 가입
ㅇ특정 무선네트워크표준이나 방식에 대하여 독립적이고
모든 무선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하며
확장가능한 표준프로토콜 규격,컨텐츠와 응용기술을
제정하는 것
●WAP 시스템개요
ㅇWAP서버 <--①--> WAP G/W <--②--> WAP클라이언트
-.①구간은 인터넷 전용선 방식 사용(HTTP)
-.②구간은 무선방식 사용(WSP/WTP)
ㅇWAP클라이언트가 기존의 유선인터텟처럼 TCP/IP를
사용하기에는 엄청난 부담이 따르게 됨
ㅇWAP G/W 역할
-.WAP프로토콜과 인터넷TCP/IP프로토콜을 중간에서 변화해 줌
-.WAP Proxy라고도 부름
-.보통은 망 사업자들이 가지고 서비스해 줌
-.WAP서버에서의 데이터는 기존 character기반의 유선테이타
-.WAP클라이언트에서의 데이터는 binary기반의 무선테이타
-.자신이 전송하는 데이타의 비밀유지,무결성,인증 등도 처리 함
●ME란?
ㅇMobile Exploror의 약자
ㅇ프로토콜이 아님
ㅇ브라우저의 이름
ㅇ무선인터넷환경에서 향후 Windows CE기반의
모바일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무선인터넷폰이나 PDA 등
모바일 소형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
현재의 인터넷표준을 지원하는 브라우저
ㅇ일반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html3.2의 부분집합을 지원
ㅇ기존의 html컨텐트들을 무선인터넷에서도 사용하는 것
ㅇos에 독립적인 브라우저
ㅇKTF(016과 018)에서 ME브라우저를 지원하는
mHTML을 사용하여 무선인터넷서비스 중
●VM이란?
ㅇVirtual Machine의 약자
ㅇWAP이나 ME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멀티미디어적인 요소 지원
ㅇ보통 2세대 무선인터넷서비스라고 함
ㅇVM구현언어로 자바,C언어 주로 사용
-.자바 경우 J2EE, J2SE, J2ME 중 J2ME을 이용한 플렛폼 사용
ㅇ사용자는 VM이 내장된 전화기 필수
ㅇ이동사별로 서로 다른 VM사용 중 - 별첨참조
-.자바로 인해 서로 다른 플렛폼사용
-.자바는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호환이 가능하고
모바일디바이스에 대해서 특별한 세부규정이 없다
-.따라서 이동통신업체들 마다 자신들만의 플렛폼을 만들어서 사용
ㅇKVM
-.Kilobyte Virtual Machine
-.기존 자바가상머신의 서브셋
-.CPU(16bit/16MHz)
-.128KB 메모리 요구
-.LG텔레콤 등 세계 20여개 회사에서 사용 중
ㅇSKVM
-.SK Telecom에서 자체개발한 J2ME
-.VM,단말확장,네트워크,IO를 포함하는 클래스라이브러리로 구성
-.무선단말기에서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도 및 실행
ㅇGVM
-.General Virtual Machine
-.프로그램스크립트 다운로드 시스템
-.모바일C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개발
-.포팅이 용이하고 실시간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
-.SK Telecom에서 서비스
ㅇMAP
-.C기반
-.초기 KTF에서 사용
-.Mobile Application S/W Plug-in
ㅇBREW
-.미국퀼컴에서 만든 플랫폼
-.CDMA칩에 플랫폼이 내장되어 있음
-.처리속도가 빠르다
-.브르스펙에 맞춰 개발된 컨텐츠라면 이동통신업체에 대해서는
개발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동일한 컨텐츠로 서비스할 수 있다